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8

산사나무, 산사나무 꽃, 열매, 산사나무 꽃말 - 윤관의 사돈 고사가 보인다 계절의 여왕 5월이다. 주위를 보니, 유난히 하얀 꽃이 많이 보인다. 이팝나무, 아카시아꽃, 조팝나무 등등.... 이와 같은 꽃이 한창 필 무렵, 새로운 "사돈"이라는 말을 유래시켰다는 "산사나무" 꽃도 이제 가세한다. 낮은 산, 작은 개울에 핀 산사나무꽃이 피어 촬영해 보았다. 무심히 꽃만 본다면, 조팝나무꽃과 잘 구별이 안 되지만 자세히 보면 잎 모양, 크기, 꽃 모양이 다르다. 바로 산사나무와 산사나무꽃이다. 장미과 교목이라고 하는 산사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원산지라고 한다. 우리나라 산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무이며, 우리나라 원산지답게 그 모양이 좋고 꽃도 아름답고, 또한 그 열매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우리가 가까우면서도 잘 모르는 대표적인 나무 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다... 2021. 5. 9.
조팝나무와 이팝나무 차이 요즘 서울 가로수에 하얀 쌀밥이 쌓였다. 하얗게 핀 꽃이 쌀밥과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이팝나무이다. 이팝나무꽃이 피는 시기는 보통 24절기로 입하(5월 6일 전후) 전후로 이때는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되는 날이어서 옛날 쌀처럼 하얗게 핀 이 나무를 귀하게 여겼고,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깃들여 있는 이름이 지어진 듯하다. 멀리서 보면 이팝나무와 비슷한 꽃을 피우는 나무가 있다. 바로 조팝나무인데, 이 나무는 선사시대부터 재배했던 조(좁쌀)밥에서 유래한 이름인 듯한데, 이팝나무와 더불어 꽤 그럴듯한 이름이다. 멀리서 보면 비슷하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나무 크기와 꽃 모양이 확연히 다르다. 이팝나무는 쌀과 비슷한 길쭉한 꽃이 피지만, 조팝나무는 5개 꽃잎 안에 노란 좁쌀을 품고 있는 꽃 모양을 하고.. 2021. 5. 2.
스투키 키우는 방법 공기 정화식물 중의 대부분은 외래어처럼 우리말로 그대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NASA에서 발효한 공기정화 식물 목록을 보면, 대부분이 이런 식이다. 이렇게 할 수밖에 없는 것은 그에 맞는 우리말이 없기 때문인데 많은 경우 어떤 것이 진짜 이름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 오늘 소개하는 스투키도 그중 하나이다. 다육식물 중의 하나인 산세베리아의 한 종류로 알려진 스투키는 NASA의 공기정화 식물 목록 27위의 식물인 산세베리아보다 3배의 공기정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영향 때문인지 이것이 명칭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통용되는 말이 스투키이므로 이 글에서도 스투키로 불러본다. 스투키는 다른 대부분 식물과는 다르게 밤에 산소를 내뿜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투키는 침실에서 키우면 더욱 편안한.. 2021. 4. 20.
실내 공기정화식물 50가지 우리가 사는 지주 주위 궤도를 돌면서 오랫동안 머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우주 정거장이 있다. 현재도 이것은 지구를 돌면서 유튜브 중계를 통해서 지구의 모습을 거의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해 준다. 우주라는 공간이 지구의 지상과 환경이 너무나 다르고, 어떻게 보면 밀폐된 공간으로 그곳에서 사람이 지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우주 정거장에 있는 가장 비싼 물건 중의 하나가 화장실이라고 하니, 다른 것은 겪지 않아도 어려움이 짐작이 간다. 오랫동안 우주정거장이나 유인 탐사선을 운영하면서 NASA는 그곳의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식물에 관해서 많은 연구를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 환경이 지구의 지상과 다르기에 실제로 우리의 실내와는 다른 환경이기에 효과도 우주정거장에서 실험한 것과 차이가 난다고는 하.. 2021. 4. 19.
아글라오네마 키우기 아글라오네마는 영화 “레옹”에 나오는 식물 이름이다. 주인공 레옹이 그토록 아끼고 사랑했던 가족이자 친구였다. 그러했기에 레옹은 마지막에 아글라오네마가 심어진 화분을 두고 갈 수 없었으며 생명의 위협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조차 그는 그것만 혼자 남겨둘 수가 없었을 것이다. 관심이 없다면, 그 장면이 너무 과한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 있을는지도 모르지만, 반려동물이 가족의 일부로 인식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식물 또한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가족이 될 수 있다. 아글라오네마는 NASA가 발표한 공기정화 식물 순위 39위를 차지는 식물이며, 폼알데하이드 제거량 중상, 자일렌 제거량 중, 음이온 발생량 상, 상대습도 증가량 중상, 리모닌 성분의 함량 중간 정도를 차지하는 실내 공기정화 식물의 하나로 아이들 공부방.. 2021. 4. 19.
세한도 - 김정희 고등학교 학창 시절에 조선 후기의 문인 김정희가 그렸다는 "세한도"에 관한 내용이 국어 교과서에 나왔던 기억이 난다. 글의 작가가 누군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세한도를 보면서 느끼는 감정을 그런 글로도 쓸 수 있구나 생각했었다. 그 당시는 아무리 글을 읽어도 말라빠진 듯한 소나무와 잣나무, 엉성하게 그려진 집 모양은 이 그림이 그려진 동기와 유래를 배웠지만, 별로 감흥이 없던 그러한 것이었다. 누구나 관심이 있다면 알 수 있듯이, 세한도는 국보 180호이며, 우리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작품이다. 조선 후기의 문인 김정희가 그린 작품으로 문인화 이념의 최고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를 받는다. 김정희는 자신의 제자였던 이상적의 변함없는 관심과 의리에 대한 보답으로 1844년 제주도 .. 2021.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