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8

남천나무 키우기 - 크리스마스트리 장식을 직접 준비해 볼까? 12월 크리스마스철이 오면, 크리스마스트리를 많이 장식한다. 크리스마스트리 하면,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구상나무를 빼놓을 수 없지만, 사실 이 나무는 집에서 키우기가 쉽지 않다. 실제 나무가 아닌 모조품으로 크리스마스트리를 장식을 구입해서 매년 12월이면 아이들과 작은 장식품과 전구를 달아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느끼곤 한다. 그러한 장식품 중에서 작으면서 빨간 구슬 같은 열매로 치장된 크리스마스트리를 보게 되는데, 그것은 아마도 다음과 같은 열매일 것이다. 바로 남천나무 열매가 되겠다. 남천나무는 잎 모양이 대나무 잎과 비슷해서 남천죽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화단이나 정원용으로 흔히 심는 나무이다. 위의 사진에서처럼 남천나무 열매는 빨간색이며, 잎 또한 가을철이 되면 단풍처럼 붉게 물들어 그 모.. 2021. 4. 4.
청명 한식 산불 청명은 24절기 중에서 다섯 번째로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이 날은 농경 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는 이날을 기하여 논농사와 밭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로 알려져 있다. 보통 양력으로 4월 5일, 6일이 청명이며, 이날은 4대 명절인 추석, 설날, 동지와 더불어 한식이 있는 날과 거의 겹친다.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 지난 날인데, 한식은 예로부터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차가운 음식을 먹는 날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최근 언론 보도를 보니, 청명과 한식날을 맞아 많은 소방서에서 산불 방지 및 화재 방지를 위한 특별 경계 근무에 들어갔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계절적 요인으로 3, 4월에 매우 건조하여 많은 산불과 화재가 발생해서 큰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불이 일어나지 않도록 화재의 .. 2021. 4. 4.
조, 차조, 좁쌀, 조 재배 방법, 조 심는 시기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재배한 작물 중에 조가 있다. 고향에서는 일명 서숙이라고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조는 꼭 강아지풀처럼 생겼다. 곡식이 익은 모습도 그렇고, 풀처럼 자란 모습도 얼핏 보면 강아지풀과 크기 이외에는 구별이 쉽지 않다. 조는 대형 마트, 가까운 작은 마트에서 작은 봉지 등에 담겨 있는 것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잡곡 중의 하나이며, 크기가 작고 양이 적은 것에 비하면, 비교적 가격이 비싼 것 중의 하나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는 조를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어린 시절에도 매년 심었던 작물이 아니었는데, 그것은 크기만큼이나 수확량이 적고 보리 등과 비교해서 그렇게 큰 경제적인 이익이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비교적 비싼 가격에도 자주 조를 구입해서 쌀에 섞어서 .. 2021. 4. 4.
생강 심는 시기, 생강 심는 방법, 생강재배 방법 우리에게 대표적인 향신료 작물이 있다면, 그것은 생강이다. 생강은 동의보감에 그 효능과 먹는 방법이 제시된 작물로 이를 통해 생강은 우리 조상들이 예전부터 재배해 작물인 듯하다. 생강은 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양념 재료이기도 하다. 각종 김치를 담그는데, 생강이 없다고 생각해보자, 단팥이 없는 붕어빵처럼 여겨질지도 모를 일이다. 생강은 원산지가 아시아 열대 지방이나 인도 지역이라고 추정되는데, 생강을 생각할 때마다 세계사의 한편이 떠오른다. 생강과 같은 향신료의 재료를 얻기 위해 그 옛날 유럽 사람들이 서인도 항로 개척을 했고, 그것의 일환으로 그들이 신대륙이라고 하는 지금의 아메리카에 도착한 계기가 된 것이 생강 등이기 때문이다. 유럽에서 이 생강을 키워서 재배했으면 되었을 텐데 왜 그러지 못하.. 2021. 4. 3.